5월 7일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자이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현 정의기억연대)의 이용수 전 공동대표가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국회의원 당선인이자 전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 이사장에 대한 기부금 횡령 의혹을 제기하며 수요집회의 불참을 선언했다. 학생들이 수요집회에 참여하기 위해 귀중한 돈과 시간을 사용하지만, 증오와 상처만 가르친다고 지적하였으며 참가한 학생들이 낸 성금이 어디에 쓰였는지도 모른다고 또한 비판했다. 이로 인해 발생 한 논란이 윤 당선인 개인에 국한된 문제부터 장학금 사용처, 2015년 위안부 합의 등까지 정치적 논쟁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번 폭로 사건의 핵심인 이용수 할머니 (출처 : 중앙일보)

 

폭로에서 정치적 논쟁으로 발전하다

  7일 대구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이용수 할머니는 수요집회에 대한 불참과 정대협에 수십 년 동안 이용만 당하였으며, 어떠한 단체와도 함께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2015년 한· 일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이 10억 엔을 지급한다고 하였을 때 위안부 피해자들이 전혀 알지 못하였으며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말했고, 동시에 윤 당선인을 강도 높게 비난하였다. 수요집회는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일본 총리 방한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에 대한 불참은 정의연에 대한 깊은 불신을 드러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시에 민감한 주제인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언급함으로써 미래한국당과 더불어민주당 간의 정치적 논쟁으로 발전하며 정치권에서도 논란이 되고있다.

 

정의기억연대를 둘러싼 논란들

  정의연의 후원금이 위안부 피해자들과 전혀 관계없는 진보 단체로 흘러 들어가거나, 술집에서의 실제 결제는 430만 원이었지만 회계장부에는 3,300만 원으로 등재되어있는 등 본 목적과 다른 후원금들의 사용처들이 밝혀졌다. 정의연이 공개한 2019년 기부물품 지출 명세서에는 한 상조회사에 1,170여 만원을 사용했다고 나와 있지만, 이 회사는 10여년 동안 정의기억연대와 인연을 맺고 사망한 위안부 피해자의 장례를 무료로 치러주는 곳으로 상조회사 대표와 간부는 기부금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또한 김복동 피해자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김복동 장학금’은 2019년에는 25명, 2020년에는 10명에게 지급되었는데, 수령자 전원이 시민단체나 노조, 농민 관련 단체의 자녀인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정의연 측에서는 김복동 할머니께서 남긴 유지에 따라 지급한 것이라 해명했으나 유언장이나 공증 내용을 공개하지는 않아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윤 당선인은 기부금을 받을 때 공익법인이 아닌 개인 명의 계좌 여러 개로 기부금을 받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행위 자체가 횡령으로 간주할 수 있는 중요한 일이지만 정의연 측에서 이는 김복동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윤 당선인이 상주를 맡았으므로 상주 자격으로 조의금을 모금했으며, 평소 고인에 뜻에 따라 시민단체에 기부하거나 장학금 전달에 사용되었으므로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8일 조해진 미래통합당 당선인은 “윤 당선인의 딸이 최소 8천만 원, 최대 1억 원 의 비용이 드는 캘리포니아주립대에서 피아노 관련 유학을 하고 있지만, 윤 당선인과 부군의 1년 수입은 5천만 원에 불과하다”라며 또 다른 성금 유용 의혹을 제기했다.

  이외에도 회계 공시 내용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 약 49억 원의 기부금을 받았지만 18%인 9억 2천만 원만 위안부 피해자 지원 사업에 쓰였다는 것이 밝혀져 가장 중요한 피해자 지원 사업에 지출한 금액이 너무 부족하다는 비판이 일었다. 정의연이 공개한 회계장부에는 상당한 오류와 누락된 부분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단순히 입력 과정이나 전산 처리상의 오류에 불과하다고 똑같은 해명만을 내놓음으로써 단순히 후원금과 장학금뿐만 아니라 회계 공시 내용에서의 문제점 또한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윤미향 당시 정대협 대표가 외교부와 합의 내용을 논의하여 알고 있었으나 이를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알려주지 않았다는 논란 또한 존재한다. 당시 현직에 있었던 외교관들은 충분히 합의 내용을 미리 설명했고 괜찮은 반응을 보였다는 등의 발언을 하고 있지만, 현재 외교부는 합의 핵심 내용을 정대협과 피해자들에게 통보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며 합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통보받았다는 윤 당선인의 당시 주장에 손을 들어주었다. 당시의 정부와 현재 정부의 집권 여당이 다르다는 점, 그리고 윤미향 전 이사장이 현재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라는 점과 겹쳐져 양측의 정치적 공세까지 합쳐지고 있는 상황이므로 사 건에 대한 중립적인 인식과 객관적인 판단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항공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