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자유인, 한대수

  1969년 9월 19일, 머리를 기른 청년이 남산 드라마센터 무대에 섰다. 톱 연주와 함께 공연이 시작되었다. 통기타를 튕기며 부르는 노래는 거칠기 이를 데 없다. 징소리와 시계소리가 동원된다. 슬라이드를 비추기도 하고, 향을 피우기도 한다. 한국 포크록의 창시자로 불리는 한대수의 첫 공연 무대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공연을 한국 포크음악의 기원으로 삼는다. 한국에 싱어송라이터(Singer-songwriter)의 출현을 알리는 공연이었기 때문이다. 한대수는 이 공연에서 소개된 모든 노래를 작곡하였을 뿐 아니라 무대를 고안하고 공연 포스터도 직접 디자인했다. 송창식이 윤형주와 함께 아직 번안곡을 부를 때였고, 김민기가 등장하기 전이다.

  한대수의 할아버지 한영교는 1930년대 미국 박사학위를 받고 언더우드, 백낙준과 함께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 전신)를 설립했으며, 연희전문 신학대 초대학장과 대학원장을 지냈다. 한영교는 장차 우리나라에도 핵물리학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핵물리학 연구를 위해 한대수의 아버지 한창석을 미국 유학 보낸다. 한창석은 수소폭단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의 제자가 되지만 곧 실종되고 만다. 기괴한 소문이 돈다. 핵물리학의 비밀이 한국에 노출될 것을 꺼린 미국 CIA가 한창석을 숨겼다는 것이다. 17년 만에 한창석을 찾았으나, 그는 이미 한국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업가가 되어 있었다. 한창석의 실종은 지금도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 사건은 한대수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다.

  한대수는, 뉴욕에서 초등학교 다녔고, 부산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녔으며, 미국 롱아일랜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를 다녔다. 아버지의 실종으로 인하여, 한대수는 태평양을 오가며 우울한 청소년기를 보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당시 미국 젊은이들은 자유와 평화를 외치며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고 기성세대에 저항한다. 히피 문화가 태풍처럼 미국을 휩쓸고 지나가고 있었다. 그 태풍의 눈에서 한대수는 젊은 시절을 보냈다. 비틀즈, 밥 딜런, 지미 헨드릭스, 도어즈 등이 활약하던 미국 록의 전성기를 그는 뉴욕 한가운데서 체험한다. 히피 문화를 풍문으로만 듣던 한국의 젊은 음악인들에게 한대수의 출현은 일대 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1974년에 발표한 한대수의 첫 번째 앨범 <멀고 먼 길>은 파격적인 명반이다. 아무 반주 없이 거칠게 부르짖는 “물 좀 주소”라는 첫 외침부터가 파격적이다. 기괴하게 일그러진 얼굴 사진의 표지도 그러하다. 기타, 베이스, 오르간, 드럼은 물론이려니와 첼로, 플루트, 하모니카, 카주 등의 악기와 아기 딸랑이도 앨범 녹음에 동원되었다. 기타를 뉘어놓고 젓가락을 튀겨 소리를 내기도 하였다. 앨범에 실린 전곡이 한대수의 자작곡임은 말할 것도 없고, 표지 사진 역시 그의 작품이다. 이 앨범에는 「물 좀 주소」, 「행복의 나라로」, 「바람과 나」와 같은 명곡들이 실려 있다. 놀라운 사실은 이 곡들이 모두 그가 20대 이전 청소년기에 미국에서 작곡한 작품이라는 점이다.

한대수의 1집 <멀고 먼 길>
한대수의 2집 <고무신>

 

  군사정권은 한대수의 존재를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물고문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물 좀 주소」를 금지시킨다. “그러면 대한민국은 행복의 나라가 아니란 말이냐?”며 「행복의 나라로」를 금지곡으로 지정한다. 이듬해 발표된 2집 <고무신>은 더욱 참담한 결과를 가져온다. 철조망에 얽매어있는 고무신 사진을 앨범 표지로 삼았으니, 군사정군이 이를 묵과할 리가 없었다. 앨범이 나오자마자 체재 전복을 꾀한다는 이유로 전곡 금지곡 판정을 받는다. 정부는 앨범을 전부 회수하고 마스터 테이프까지 압수한다. 더 이상 한대수는 조국의 땅에서 노래를 부를 수 없었다. 그는 영자신문 <코리아 헤럴드>의 사진기자 생활을 하다가 다시 미국으로 떠나고 만다.

  이 땅에서 한대수는 잊혀지고 있었다. 뜻밖에도 한대수를 다시 무대로 불러온 것은 일본의 한 문화단체이다. 일본 민간 문화운동 단체 ‘크로스비트 아시아’는 1997년 후쿠오카 공연에 한대수를 초청한다.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던 일본의 록 가수 카르멘 마키와 한국을 대표하는 가수를 한 무대에 올리고자하는데, 그들이 지목한 한국의 대표가수가 다름 아닌 한대수였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한대수 자신도 의아해했다. 그는 오랜 음악 친구인 재즈 피아니스트 이우창과 백두산의 기타리스트 김도균을 대동하고 무대에 선다. 그의 LP를 들고 나와 그를 환영하는 일본 팬들이 장사진을 이룬다. 이렇게 한대수는 부활한다.

  일흔이 된 오늘날까지 한대수는 늘 새로운 음악으로 우리를 놀라게 했다. 그러던 그가 얼마 전 초등학교 3학년짜리 딸 양호의 교육을 위해서 다시 뉴욕행 비행기 티켓을 끊었다. “양호가 초등학교 3학년이 되니까 방과 후에 같이 놀 친구가 없더라. 다 학원으로 흩어졌다. 그렇다고 양호를 학원에서 학원으로 돌리며 고생시키고 싶지 않았다. 거기서 두 손을 들었다. ‘이건 아니다’. 내가 10살 때 뉴욕 간 게 생각났다. 가자!”, 그는 딸 양호가 코스모폴리탄이 되기만을 바란다고 한다. 그 자신이 코스모폴리탄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는 태평양을 ‘혼돈의 바다’라고 말한다. 그는 한국에서도 이방인이고 미국에서도 이방인이었다. 그래서 늘 새로울 수 있었고 또 자유로울 수 있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한대수를 록음악의 창시자라 부른다. 하지만 나는 그를 영원한 자유인이라고 부르고 싶다. 중학교 때 밤새 시험공부를 하다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그의 목소리를 듣고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그의 목소리에서 자유의 향기가 물씬물씬 풍겨나고 있었다. 그때 그것은 내 마음을 옭아매고 있는 사슬을 끊는 듯했다. “다들, 행-복의 나-라로 갑-시다.”

저작권자 © 항공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